독일에 있을 때 길가에 몇몇 난 푸른듯 보라빛이 나는 앙증맞은 들꽃을 보고,
이렇게 예쁜 꽃은 이름이 뭘까?
바로 검색해봤었다.
무스카리다.
작년 말 양재꽃시장 구경을 하다가
구근들을 많이 파는 가게에서 무스카리 구근을 발견했다.
"베란다에서도 기를 수 있나요?"
대답도 듣기 전에 가슴이 두근거렸다.
집에서 무스카리를 볼 수 있다면!
무스카리 구근은 보통 가을에 심어서
겨울에 뿌리를 내리고
봄에 꽃을 피운다.
이미 한 겨울이었지만
지금 심으면 된다는 구근 가게 사장님 말씀을 믿고
한 봉지 사와서 심어놨다.







뾰족한 부분이 위로 가게 심고,
심은 직후 흙이 충분히 젖을 정도로 물을 줬다.
흙은 일반 화분용 흙, 펄라이트, 조금 있던 입자가 큰 자갈도 같이 넣어
배수성이 좋게 배합했다.
겨울 동안 실내에선 베란다처럼
약간 추운 장소 (0~10도)에서 관리해야 꽃대가 나온다고 한다.
한국에서 노지월동도 된다고 하니 추위에 강한 편이다.
베란다에 내놓고
일주일에 한번씩 물을 주고 있다.
초록대가 벌써 올라온다.
봄에 보라빛 꽃을 부탁해도 되겠니?
다음 이야기
▶무스카리 구근, 꽃을 터뜨리다
▶무스카리, 파란보라빛 베란다 꽃밭을 이루다.(+꽃 진후 관리법)
무스카리
Muscari Armeniacum
🌼 1. 심는 시기와 장소
- 심는 시기: 보통 가을(9월~11월) 사이에 심으면 봄에 꽃이 핀다고 하나, 12월에 심었다;;;
- 베란다 환경: 겨울에 너무 춥지 않으면서도 서늘한 환경이 좋다. 0~10도 정도가 이상적이다.
- 햇빛: 햇빛이 잘 드는 남향 베란다가 좋다. 햇빛이 부족하면 잎만 길게 자라고 꽃이 잘 피지 않는다.
🌱 2. 심는 방법
- 화분 선택: 배수 구멍이 있는 화분을 사용한다.
- 흙 준비: 물 빠짐이 좋은 흙(일반 원예용 흙에 마사토나 펄라이트를 섞으면 좋다).
- 구근 심기:
- 구근의 뾰족한 부분이 위로 가게 심는다.
- 깊이는 구근 크기의 약 2~3배 정도(5~8cm)라고 하나 구근 사장님이 알려주신대로 빼꼼하게 심어봤다.
- 구근 사이 간격은 5~10cm 정도.
- 물주기: 심은 직후에는 충분히 물을 준다.
❄️ 3. 겨울철 관리 (저온처리)
- 겨울에는 차가운 베란다에서 키워야 꽃눈이 잘 형성된다.
- 주의할 점은 베란다가 너무 춥고 얼어버릴 정도라면 밤에는 실내로 잠시 옮겨도 좋다.
- 겨울에는 물을 많이 주지 말고, 흙이 말랐을 때만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준다. (과습은 구근을 썩게 만든다.)
🌞 4. 봄철 관리
- 2월부터 초록 잎이 올라오기 시작한다.
- 이때부터는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두고,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충분히 물을 준다.
- 꽃이 피기 전에는 구근용 비료를 소량 주면 꽃이 더 풍성해진다.
- 베란다가 따뜻해지면 물을 자주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.
💧 5. 꽃이 진 후 관리
- 꽃이 시들면 꽃대만 잘라주고, 잎은 그대로 두어 광합성을 하게 한다. (잎을 통해 구근이 다음 해에 사용할 영양분을 저장한다.)
- 잎이 완전히 시들면 구근을 꺼내어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거나, 흙 속에 그대로 두어도 된다.
+ 추가 팁
- 베란다에서는 여름에 너무 덥지 않게 주의한다. 무스카리는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을 싫어하므로 여름에는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.
- 여러 개의 구근을 화분에 모아 심으면 꽃이 더 풍성해 보인다.
- 무스카리는 다년생이므로 관리만 잘하면 매년 예쁜 꽃을 볼 수 있다.
끝.
'식물 로그 Plant Log > 구근식물 Bulbous Pla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구근식물] 무스카리, 파란보라빛 베란다 꽃밭을 이루다.(+꽃 진후 관리법) (0) | 2025.03.13 |
---|---|
[구근식물] 무스카리 구근, 꽃을 터뜨리다_25.02.22 (0) | 2025.02.24 |